mgm홀짝 중계 돈버는어플 Ӄ돈따기
28일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파워볼 가족방 발간한 ‘2020 세이프게임 한국부자보고서’에 따르면,
2019년말 현재 한국 부자의 수는 35만4000명으로 전년 대비 9.6% 증가했다.
부자들의 자산 규모는 6.8% 증가한 2154조원으로 집계됐다.
한국부자보고서는 매년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가 주관해
10억원 이상의 금융자산을 보유한 전국의 고자산가를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분석한 자료다.
이 보고서는 금융자산을 기준으로 부자를 파악한다. 금융자산에는 주식 및 채권도 포함되기 때문에
기업인들이 보유한 주식지분이 숫자에 반영됐다는 사실을 감안해야 한다.
일반적으로 체감하는 금융자산과는 성격이 조금 다를 수 있다. 금, 보석, 예술품, 골프장 회원권
등은 기타자산으로 따로 분류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자산가는 금융자산 10억원 이상~100억원 미만, 고자산가는 100억~300억원,
초고자산가는 300억원 이상을 가진 개인으로 분류했다.
앞서 부자들이 보유한 자산 2154조원도 금융자산에 국한된 금액이다.
<자료: 한국부자보고서, KB금융지주 경영연구소>
그러나 총자산 구성비를 보면, 지난해 보고서에서 39.9%로 집계됐던 금융자산 비중이
올해는 38.6%로 감소한 반면 부동산자산 비중은 53.7%에서 56.6%로 증가했다.
따라서 부자들의 실제 총자산 규모는 이보다 훨씬 많이 늘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지난 한 해 국내 증시는 일정 범위에서 횡보했지만
주요지역 아파트 등 부동산 가격은 크게 올랐기 때문에, 총자산 중 금융자산 비중이
감소했는데도 금액으로 6.8% 늘었다는 것은 부동산 자산이 크게 불어났다는 뜻으로 해석할 수 있다.
물론 이들이 부동산 투자 규모를 늘렸을 수도 있고 기존에 보유한 부동산 자산 가격이
상승한 결과일 수도 있다.
총자산 안에서 비중의 변화는 감지된다. 2013년만 해도 전 세계 고자산가(HNWI)들은 현금 및 현금성자산 비중이 28.2%로 가장 높았으나 2020년 1분기 현재는 25.2%로 감소했다. 대신 주식 비중이 26.1%에서 30.1%로 1위 금융자산이 됐다.
그러나 이건 어디까지나 전 세계 평균이고, 한국은 여전히 주식보다 부동산이다.
한국 부자의 보유자산 중 50% 이상은 부동산자산, 40% 정도가 금융자산에 해당한다.
2010년대 초만 해도 부동산 비중이 줄면서 금융자산이 상승했으나,
2010년대 중반 이후 부동산자산 비중이 다시 상승하면서 금융자산 비중은 감소했다.
이는 아파트 매매가격 변화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2010년대 초반 서울 및 주요지역
아파트 매매가격이 약세를 보이다가 2010년대 중반부터 강세로 돌아섰기 때문.
2017년 금융자산 비중이 함께 증가한 것은 그해에 주가가 급등한 결과였다.
